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아동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실험같다.
카드는 자극 자체이면서 목표 달성 방법을 생각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 것 같다.
나이에 따른 에러의 횟수를 보면 이 과제에 대해서는 10~13세가 근접발달영역에 해당하는 것 같다.
이중 자극의 정확한 의미는 ??
2012년 9월 18일 화요일
톨만의 실험
<첫번째 실험>
처음 그룹에겐 17일동안 먹이를 주지 않았고
둘째 그룹에게는 17일동안 먹이를 주었다.
셋째 그룹에는 11일부터 먹이를 주었다.
실험을 통해 쥐들이 통찰력을 가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쥐들은 보상이 없는 상황에서도 학습하였다
<두번째 실험>
처음에는 가까운 지름길을 막아놓고 쥐에게 먼길을 돌아가서 먹이가 있는 곳까지 가도록
여러번 연습시킨다.
그 후 모든 길을 열어놓고 보니
쥐가 본래 가던 먼길로 돌아가는게 아니라 가까운 길을 찾아서 간다.
즉, 쥐의 사고(머리)에 먹이가 있던 곳에 대한 인지지도가 생긴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여기서 쥐는 목표하는 곳에 대한 ' 기대'를 갖고 행동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톨만의 실험은 파블로프, 숀다이크의 행동주의와는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학습이 반드시 자극과 반응으로 이루어진다는 행동주의 아이디어를 뒤엎고 있는 것이다.
이는 강화가 주어지지 않아도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톨만은 인지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 같다.
쥐의 뇌 속의 '사고 작용'을 실험을 통해 살펴본 것이기 때문이다.
처음 그룹에겐 17일동안 먹이를 주지 않았고
둘째 그룹에게는 17일동안 먹이를 주었다.
셋째 그룹에는 11일부터 먹이를 주었다.
실험을 통해 쥐들이 통찰력을 가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쥐들은 보상이 없는 상황에서도 학습하였다
<두번째 실험>
처음에는 가까운 지름길을 막아놓고 쥐에게 먼길을 돌아가서 먹이가 있는 곳까지 가도록
여러번 연습시킨다.
그 후 모든 길을 열어놓고 보니
쥐가 본래 가던 먼길로 돌아가는게 아니라 가까운 길을 찾아서 간다.
즉, 쥐의 사고(머리)에 먹이가 있던 곳에 대한 인지지도가 생긴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여기서 쥐는 목표하는 곳에 대한 ' 기대'를 갖고 행동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톨만의 실험은 파블로프, 숀다이크의 행동주의와는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학습이 반드시 자극과 반응으로 이루어진다는 행동주의 아이디어를 뒤엎고 있는 것이다.
이는 강화가 주어지지 않아도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톨만은 인지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 같다.
쥐의 뇌 속의 '사고 작용'을 실험을 통해 살펴본 것이기 때문이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